호스트/클라이언트: 호스트는 메시지를 보내는 쪽, 클라이언트는 메시지를 받는 쪽을 의미한다.
패킷: 네트웍 상에서 물리적으로 전송되는 정보이다. 패킷은 하나나 그이상의 메시지들로 구성된다.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이 보낼수 있는 가장 작은 형식의 자료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일련의 메시지들을 만들고, 네트워킹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그 메시지들을 하나의 패킷으로 합친다.
시스템 메시지: 네트워킹 라이브러리가 보내는 메시지를 말한다. 이것은 응용 프로그램에 독립적이며, 응용 프로그램은 이런 메시지들을 알 필요가 없다. 시스템 메시지들은 응용 프로그램 고유 메시지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패킷으로 합쳐진다.
Heartbeat: 대기중인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메시지이다. heartbeat의 목적은, 송신 응용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고 있음을 수신자에게 알려주는 것 이다.
메시지 처리부: 수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함수. 네트웍 라이브러리가 호출한다.
Reliable UDP: UDP프로토콜은 특성상 두가지 문제점이 발생 한다. 하나는 어떠한 자료 패킷이 그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같은 목적지를 향한 두 자료 패킷이 원래의 송신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응용 프로그램에서 반드시 필요한 자료가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면 응용 프로그램은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을 하며, 아예 죽을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패킷이 적당한 시간 안에 목적지에 반드시 도달함을 보장할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신뢰성있는(Reliable) UDP 프로토콜을 구현 한다.
Nagle Algorithm: tcp의 지연 송신 기능이다. 통신량을 효율적으로 유지 하기 위해 송신 데이터를 약간의 시간을 지연시켜 송신한다. 간혹 빠른 지연시간을 위해 기능을 끌 경우가 있다. 이 기능을 끌 경우 Silly Window Syndrome 현상이 일어날수 있으므로 지연 송신 기능을 직접 구현해야 한다. 소켓에서 TCP_NODELAY 옵션으로 on/off 할 수 있으며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on 이다.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레이어의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의 최대 전송 단위(maximum transmission unit, MTU)란 해당 레이어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크기(바이트)이다. MTU 지표는 일반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네트워크 카드, 직렬 포트 등)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MTU 크기는 표준(이더넷)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시스템이 연결 시점에 결정될 수도 있다 (점대점 시리얼 링크(point-to-point serial links)의 경우).
NIC(Network Interface Card)
계속